질환백과
- 정의
-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이나 눈꺼풀의 내면을 둘러싸는 결막에 알레르기로 인해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.  
- 원인
- 알레르기 질환은 보통 사람에게는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, 특정 사람에게 비염, 천식, 가려움 같은 이상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.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꽃가루에 의한 화분증, 집먼지진드기, 동물의 털 등이 주원인인 알레르기성 비염, 결막염, 천식, 피부염 등이 있습니다. 요즘에는 실내 생활의 증가, 실내 흡연, 매연, 신소재 개발 등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급증하여 환자 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 -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고초열성 결막염(Hay fever conjunctivitis), 춘계 각결막염(Vernal keratoconjunctivitis), 아토피성 각결막염(Atopic keratoconjunctivitis)으로 나뉘는 즉시형 과민 반응과, 플릭텐성 각결막염(Phlyctenulosis), 접촉성 안검염(Contact dermatitis induced conjuctivitis)에 의한 결막염으로 나뉘는 지연형 과민 반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 춘계 결막염은 봄과 여름철에 많이 나타납니다. 결막염은 대부분 단독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알레르기 비염과 함께 나타납니다. 
- 증상
- 여러 가지 항원은 눈의 분비물, 충혈, 결막 부종,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. 흔히 알레르기성 비염이 동반됩니다. 결막 부종이 심해지면 묵(Jelly) 같은 물질이 올라오기도 합니다. 좀 더 심한 경우에는 눈꺼풀 뒷면에 크고 작은 유두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시력이 감퇴하거나 소실될 수 있습니다.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와 양상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.  
- 진단
-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분비물의 종류 및 형태를 임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분비물에 대한 세균학적 검사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. 
- 치료
- 하루에 3~4번 정도 얼음찜질을 하면 가려움이나 부종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항히스타민, 항충혈 효과 안약을 점안하거나, 인공 누액을 자주 점안하면 도움이 됩니다. 
- 경과
- 결막염의 유병 기간은 며칠에서 2주 정도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 알레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있는 한 계속 나타납니다. 해마다 재발하기도 합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