질환백과
- 정의
- 기저세포 암종은 표피 및 그 부속기 기저부의 비각질화 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종양입니다. 이는 국소적으로 침윤하며 매우 드물게 전이됩니다. 기저세포 암종은 편평세포암과 함께 가장 흔한 비멜라닌종 피부암입니다.  
- 원인
- 기저세포 암종의 주요 원인은 오랜 기간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입니다.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변이를 초래하는 자외선 B와 연관이 있습니다. 직업적인 노출보다 간헐적으로 짧고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이 더 위험합니다.  
- 증상
- 기저세포 암종은 여러 임상 형태를 보이며, 주로 얼굴 부위에 자주 나타납니다. 기저세포 암종은 서서히 자라며, 다른 부위로 전이되는 경우가 드뭅니다. 다만 주위의 피부, 피하, 근육 및 뼈로 국소적으로 침입할 수 있습니다. 기저세포 암종의 형태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 - ① 결절궤양 기저세포 암종 
 가장 흔한 기저세포 암종의 형태입니다. 밀랍 모양으로 반투명한 표면에 모세 혈관이 확장된 작은 결절로 시작합니다. 점차 자라면서 중앙부에 궤양이 생깁니다.- ② 색소 기저세포 암종 
 멜라닌을 함유하고 있어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보입니다. 악성 흑색종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.- ③ 경화 기저세포 암종 
 표면이 매끄럽고 편평하거나, 약간 낮거나 높습니다. 상아 색조를 띠고 단단한 판을 형성합니다. 치료 후 재발이 흔합니다.- ④ 표재 기저세포 암종 
 한 개 내지 수 개의 반이 홍반 및 인설이 생깁니다. 이것들은 약간 침윤하여 주변부로 퍼집니다. 몸통과 팔다리에 흔하게 발생합니다.
- 진단
- 피부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확진을 하게 됩니다. 
- 치료
- 기저세포 암종의 치료법은 병변의 위치, 조직아형, 재발암의 유무, 그 외 환자의 요인에 의해 결정합니다. 원칙적으로 수술을 통한 외과적 절제가 가장 우선적인 방법입니다. 병변의 크기가 작은 경우 병변 제거 후 일차 봉합술을 실시합니다. 병변이 중등도 이상일 경우, 절제 범위가 커지면 주변 조직을 이용하여 피부 결손을 재건하거나 피부 이식을 시행합니다. - 재발의 위험이 높거나 조직 보존이 필요한 경우, 나이가 젊다면 모스 미세 수술이 가장 좋습니다. 이는 피부암을 조금씩 제거한 후, 제거된 조직편을 통해 종양세포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를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종양세포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는 수술입니다. 치료 성공률이 높고 재발률이 낮으며,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- 이외에 광역동 치료, 소파 및 전기소작술, 방사선 치료, 냉동 치료, 세포독성 약물 요법 등을 필요에 따라 시행합니다. 
- 경과
- 기저세포 암종은 크게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습니다. 다만 주로 얼굴에 발생하여 국소적, 지속적으로 조직을 파괴합니다.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한 후에 재발할 확률은 5.3%이며, 모스 수술을 시행한 후에 재발할 확률은 1.3% 정도입니다. 기저세포 암종의 전이 가능성은 0.0028~0.55% 정도로 매우 낮지만, 전이된 후의 평균 생존 기간은 약 8~10개월로 알려져 있습니다. 
- 주의사항
- 기저세포 암종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야외 활동 시 태양 광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야 합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![점일까? 암일까? 피부암 자가진단법 [건강플러스]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_TssYGCIsMo/mqdefault.jpg)















